💡 고등학생들이 많이 하는 동아리 유형 (예시 + 진로 연계)
유형대표 동아리 예시진로/전공 연계
학술탐구형 |
생명과학탐구, 수학심화연구, 문학비평, 역사토론, AI연구 |
자연과학, 인문학, 의학, 공학 등 |
진로탐색형 |
법과사회, 범죄심리연구, 경제연구, 광고기획, 창업동아리 |
법학, 심리학, 경영학, 광고홍보학 |
체험·실습형 |
창의실험반, 코딩제작, 드론제작, 화학실험, 인체해부모형 제작 |
공학계열, 의학계열 |
봉사·사회참여형 |
환경지킴이, 다문화이해, 지역사회조사, 청소년인권 동아리 |
사회복지학, 사회학, 교육학 |
예체능형 |
밴드부, 미술창작반, 댄스, 사진촬영, 영상제작 |
음악, 미술, 체육, 영상미디어 |
교과연계형 |
영어회화반, 독서토론반, 고전읽기, 수학문제해결반 |
전공 전반적 연계 가능 (교과 세특 연계 효과 ↑) |
융합·창의형 |
STEAM융합동아리, 생명X미디어, 철학X인공지능 등 |
융합학과, AI/디자인/미래전공 중심 |
📘 생기부에 어떻게 녹여내면 좋을까?
✅ 1. 활동 내용은 ‘과정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 단순히 “탐구했다”, “토론했다”가 아니라
→ “문학 작품 속 여성 캐릭터 분석을 주제로 발표 준비 및 질의응답 참여”,
→ “데이터 수집과 시각화를 통해 환경 변화 분석 후, 해결방안 제안” 등
✅ 2. 전공과 연결되는 ‘탐구 주제’ 중심 정리
- 생기부에는 전공적합성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작성하면 좋습니다. 예시:
“공정무역의 개념과 국내 커피 브랜드의 사례를 조사하고 발표함. 이를 통해 윤리적 소비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토론함.”
→ 경영학, 사회학과 연계 가능
✍️ 생기부 기록 예시
활동생기부 기록 예시
문학비평 동아리 |
“『1984』를 읽고, 감시사회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토론. 디스토피아 장르의 특징과 현대사회와의 연관성을 발표함.” |
생명과학탐구반 |
“기생충의 생존전략을 주제로 연구 발표. 기생충의 숙주 전이 방식에 대한 사례 조사와 PPT 자료 제작 발표 수행.” |
창업기획 동아리 |
“청소년 대상 스터디카페 창업 아이디어 기획. 타깃층 분석, 가격 전략 수립, 설문조사까지 마케팅 전반 수행.” |
영상제작 동아리 |
“학교 환경 캠페인 영상을 직접 기획·촬영·편집. 시청자 피드백을 반영한 수정 과정 포함.” |
🎯 동아리 활동으로 생기부를 잘 살리려면?
전략설명
1. 전공 연결 |
동아리의 주제나 활동을 희망 전공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야 합니다. |
2. 주도성 강조 |
“제안했다, 기획했다, 주도했다” 등의 표현을 통해 자기주도적 태도 강조 |
3. 구체적인 탐구 내용 |
단순 활동 나열은 NO. 어떤 과정을 거쳐 무엇을 배웠는지 중심으로. |
4. 활동 결과와 성찰 |
결과보다 그 과정에서 어떤 태도 변화, 생각의 확장이 있었는지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