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특 기록 예시 (전공연계 탐구형, 5개 유형)
① [진로 탐구형 세특 – 국어 or 사회 연계]
수익 중심으로 선택되는 전공인 피부과·성형외과에 대해 "진짜 의료인가, 미용 산업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글쓰기 활동을 수행함.
화상 복원, 외상 재건, 중증 피부질환 등 진짜 의료의 본질에 대해 자료를 탐색하고, '진정한 의료인의 태도'에 대한 글을 작성하며 전공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확장함.
② [생명과학 연계 – 의료윤리 포커스]
피부과와 성형외과의 치료적 가치와 미용적 목적을 구분하며, 생명윤리 관점에서 전공의 공공성·사명감을 탐색함.
다양한 사례 분석(화상환자 재건, 피부암 치료 등)을 통해 치료 중심의 진료가 가지는 의학적 의의에 대해 발표하고, 상업적 미용시술의 문제점과 경계 기준에 대해 토의함.
③ [의학 진로 세특 – 비교 분석형 탐구]
의대 진학 희망 학생으로서 전공 선택의 기준이 수익이 아닌 사명감과 사회적 책임에 기반해야 함을 주장하며, 피부과·성형외과 전공의 실제 진료현장을 비교·분석함.
‘피부과 전문의’와 ‘미용 피부과 원장’의 진료 방향, 환자 유형, 윤리 문제 등을 다각도로 비교하여 의료인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 보고서를 작성함.
④ [통합교과 세특 – 발표+토론 활동형]
피부과·성형외과의 사회적 인식과 실제 의학적 필요성 사이의 간극을 주제로 한 프레젠테이션을 제작하고, 친구들과 ‘진정한 의료인의 길’에 대해 토론함.
특히 미용 중심 진료의 위험성과, 치료 중심 진료의 가치를 분명히 구분하여, 전공 선택 전 ‘사회적 신뢰’를 고려해야 함을 주장함.
⑤ [자율활동 세특 – 진로 성찰 일지 기반]
의대 진학을 준비하며 전공 선택의 중요성을 자율일지에 기록하고, 진로부와 함께 ‘전공별 의료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1:1 인터뷰를 진행함.
특히 성형외과·피부과의 윤리적 경계와 진정한 치료의 의미를 고민하며, “나는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진로 성찰 에세이를 작성함.
📋 [슬라이드용 카드뉴스 구성 – 6장]
① 첫 장 (표지)
🔍 피부과·성형외과는 진짜 의학일까?
의대를 꿈꾸는 너에게 묻는 질문
② 두 번째 장
💬 많은 학생들이 의대를 선택해요.
하지만 그 이유는 다양하죠.
✔ 성적이 되니까
✔ 부모님의 권유로
✔ 수익이 높아서
③ 세 번째 장
그중에서도
🔥 피부과와 성형외과는 인기 전공!
왜일까?
✔ 높은 수익
✔ 근무환경 양호
✔ 미용 수요 많음
④ 네 번째 장
그런데,
❗이건 진짜 ‘의사’의 길일까?
👉 화상환자 복원
👉 외상으로 망가진 얼굴을 회복
👉 피부질환 치료
이런 진짜 ‘치료 목적’의 진료는 얼마나 될까?
⑤ 다섯 번째 장
👩⚕️ 미용 목적 vs 치료 목적
같은 전공이라도
의사의 사명감과 목적은 다를 수 있어요.
✨ 나는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가?
⑥ 여섯 번째 장 (마무리/행동 유도)
💡 의대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전공의 사회적 가치”도 함께 고민해보세요.
✔ 탐구활동지 작성해보기
✔ 나의 진짜 목표 써보기
#진짜의사 #의료윤리 #전공탐구
'2. 동아리 & 자율활동 백과 > 👉 세특에 연결 가능한 동아리 전략 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사 세특주제 : “과거를 알면 현재가 보인다 – 역사적 사건 다시 보기” (0) | 2025.05.12 |
---|---|
고등학교 교과별 세특용 활동 예시- 수학 세특은 이렇게! 피보나치 수열로 수업과 연결하기 (1) | 2025.05.12 |
딥페이크 선거, 공정한가요? 고등학생의 시선으로 본 선거 윤리- 세특주제 (0) | 2025.05.08 |
📱 SK 유심 해킹 이슈 기반으로! 세특주제 찾기 (0) | 2025.05.08 |
의예과세특: 암 치료 기술의 과거, 현재, 미래를 비교·조사하고 발표한 활동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