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창체 활동 & 탐방·답사 보고서 작성법

그곳이 사라지고 그곳이 살아나고-자율동아리, 답사보고서 예시

필기지기 2025. 4. 22. 17:48
반응형

🌱 『그곳이 사라지고 그곳이 살아나고』 연계

🔹 자율동아리 활동 아이디어 (독서 + 활동 결합형)

활동 주제설명
‘우리 동네 기억 지도 만들기’ 동네 어르신 인터뷰 + 옛 장소 조사 → 지도에 스토리 담기
‘사라진 공간의 부활’ 기획전 빈 공간에 대한 재생 아이디어 PPT 발표회 or 미니 전시
‘도시재생 크리에이터’ 프로젝트 영상 촬영/편집으로 공간 변화를 담아 유튜브 또는 블로그 운영
‘건축+인문 융합 독서회’ 『그곳이 사라지고~』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등 연계 독서 후 토론
‘기억의 공간 재설계’ 디자인 워크숍 팀별 가상 공간 기획서 작성 + 간단한 모형 제작 or 도면 스케치

💡 동아리 이름 예시: 기억건축소, 사라진공간연구소, 도시의숨결


🗺️ 답사 보고서 주제 예시 (수행평가/자율활동용)

보고서 제목 제안활동 예시
“사라진 그곳에 가다” 지역의 폐교, 헌책방, 공장 등 공간 방문 후 인터뷰/관찰 기록
“도시의 과거와 미래 사이” 도시재생이 진행 중인 지역 답사 후 정책적/문화적 가치 분석
“골목의 시간, 건물의 기억” 오래된 골목길이나 한옥마을 등 역사적 공간 조사 + 사진 에세이
“지속가능한 공간이란 무엇인가” 자연친화형 건축물/공공공간 탐방 후 감상문 + 제안서 작성
“기억이 머무는 장소를 기록하다” 가족 또는 지역 주민과 함께 장소를 방문하고 구술사 기반 보고서 작성

📌 PPT 발표 + 사진 첨부 + QR코드 삽입한 미니 전시회 형식도 추천!

 

📝  답사 보고서 작성 템플릿 (학생용 양식)

📌 보고서 제목

예) "사라진 그곳에 가다 – ○○시장 도시재생 프로젝트 관찰기"


✍️ 보고서 목차

  1. 답사 개요
    • 답사 대상 장소:
    • 위치/주소:
    • 답사 일시:
    • 함께한 사람(선택):
    • 답사 이유(선정 동기):
  2. 답사 전 사전 조사
    • 장소의 역사, 의미, 변화 과정
    • 관련 기사/자료 조사 요약
  3. 현장 관찰 내용
    • 현재 모습 (사진 첨부 가능)
    • 주변 환경, 분위기, 인상 깊은 점
    • 주민/관계자 인터뷰 내용 요약 (선택)
  4. 나의 생각 / 문제 인식
    • 이 공간이 왜 사라졌는가?
    • 지금 필요한 변화는 무엇인가?
  5. 재생 제안 / 아이디어 스케치
    • 이 공간을 다시 살린다면 어떻게?
    • 새로운 활용 방안 + 이유
  6. 맺음말
    • 이 답사를 통해 내가 새롭게 느낀 점은?

🎯 수행평가용 평가 루브릭

평가 항목만점세부 기준
주제 이해도 10점 답사 대상의 의미를 잘 파악하고 있음
사전 조사 충실도 10점 장소의 역사, 변화 등에 대해 자료 기반 정리
현장 관찰 및 분석력 10점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과 통찰력이 있음
재생 아이디어 창의성 10점 단순 제안이 아닌, 문제 해결형 접근이 돋보임
표현력 / 구성 10점 글 흐름, 시각자료, 요약 등 전체 구성력이 뛰어남
총점 50점 -

💡 사진, 도표, 스케치, QR 연결 영상 등 시각 자료 가점 가능!


🧾  학생용 안내 자료 (프린트용 요약 가이드)


📌 『그곳이 사라지고 그곳이 살아나고』와 연결하는 활동 안내

이 책은 단순한 건축 이야기가 아닌,
사람과 공간, 시간과 기억을 잇는 인문+사회+예술 융합형 주제입니다.

💡 답사 / 동아리 / 보고서 활동에 이런 학생에게 추천!

  • “공간이 말하는 이야기를 듣고 싶어요.”
  • “도시, 건축, 문화기획 쪽에 관심 있어요.”
  • “주변의 평범한 골목이나 폐허를 새롭게 보고 싶어요.”
  • “기획서나 영상 제작 활동으로 표현하는 걸 좋아해요.”

📍 활동 아이디어 예시

  • 우리 동네 ‘잊힌 공간’ 찾아보기
  • 사라진 공간의 ‘이전 모습’ vs ‘지금 모습’ 비교
  • 직접 재생 아이디어 기획하고 발표하기
  • 동네 어르신/주민의 ‘기억 인터뷰’로 이야기 엮기
  • 사진 에세이, 공간지도, 미니 전시 등으로 결과물 만들기
반응형